블록체인 기술이 현대인들에게 사랑 받았던 이유가 언제부터 인가는 블록체인 기술을 거부하고
경계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. 연산에 의한 채굴 방식은 블록체인 고유의 안전한 거래원장 생성
의 토대가 된 것이 사실이지만,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인류에게 꼭 필요한 에너지가 비효율적으로
사용되고 낭비되는 것에 사회 구성원들은 많은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.
특히, ‘안전한’ 이라는 부분의 구현으로 인해 빠른 거래를 실현하기 힘들었던 초기 형태의 블록체
인은 실제 거래 및 결제 등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했고, 최초 블록체인 기술이 내세웠던 거래와
지불에 블록체인 기술은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만들어 냈고, 블록체인 기술 전파 초기에 거론
되었던 ‘안전하고 신속한 거래’는 더 이상 블록체인 기술에는 해당하는 카테고리가 되었다.
H3E는 이미 ‘H3E의 기술확장’ 이라는 이념에 동참하는 여러 IT 기업들과 연대하여, ‘빠르고 안전
한 거래와 지불’이라는 실제 시장 원리를 충족하는 기술로 발전해 가고 있다.
H3E의 THE를 소유하고 있는 유저는 ‘H3 Pay’ 라는 개인 전자 지갑을 이용해 온.오프라인 상점,
호텔, 식당 등에서 가상자산을 결제에 이용할 수 있다. 이를 위해 이미 신용카드 단말기, POS,
키오스크 등의 결제단말에서 신용카드와 여러 종류의 전자화폐와 더불어 HTE도 직접 지불 수단
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을 확보해 두었다.
이렇게 블록체인 가상자산을 카드단말기 단에서 직접 결제 용도로 사용하려면 키드나 다른 종류
의 전자화폐(카카오, 네이버, 페이코, 알리페이, 위챗페이, 제로페이, 삼성페이 등)의 결제 승인
소요시간과 맞먹는 정도의 블록체인 생성시간이 필요할 것이다. 하지만, 기존의 POW 합의방식
의 블록체인으로는 이러한 대응을 할 수가 없었고, 다른 결제용 블록체인 재단이나 기술회사에서
는 블록체인 결제를 위해 일반 DB 방식의 트랜젝션 처리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.
결국 POW 라는 안전성은 ‘실시간 대응’ 이라는 요구사항에 부응하지 못했고, 이를 보완한 POS
(Proof of Stake) 합의방식이 결제 및 지불에 있어서 현실성 있는 대안임을 확인하게 되었다.